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르노 QM6 2019년식 자동차 검사

My Car Story

by ISG Korea 2023. 3. 13. 16:30

본문

2019년 4월 등록된 필자의 차량에 대해서, 자동차 검사 안내장이 왔습니다.

자동차 검사는 승용으로 분류되어 있는 차량은, 최초 차량 등록일로부터 만4년이 되면 받아야 하며,

향후에는 2년마다 한 번씩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 검사 기간 이내에 검사를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아울러 9인승 이상 승합 차량은(보통 11인승 카니발 차량) 차량 최초 등록일로부터 만2년이 되는 시점에

자동차 검사를 받고,

이후 8년차 까지는 1년에 한번, 9년 차부터는 1년에 2번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한 번은 정기, 한 번은 종합)

화물 차량은 통상적으로 1년 주기, 일정한 연식이 지난 경우에는 1년에서 6개월로 검사주기를 단축하여

실시하기도 합니다. (대부분 디젤 승합 화물밴 및 화물 차량이 해당)

정기검사는 자동차의 구조 및 장치가 적합한지 체크를 하는 것이며 튜닝 승인을 받아야 하는 대상 항목이 있는지,

승인 없이 임의로 튜닝을 했는지도 확인합니다.

물론 등화류 관련도 체크합니다.(브레이크 등, 번호판 등, 방향지시등, 전조등 및 기타 등화류 포함)

경유차의 경우에는 배출가스 정밀검사도 동시에 검사를 하게 되며 매연 배출농도가

기준에 적합한지도 검사합니다.


그 외 많은 부분들을 자동차가 운행하는데 문제가 없는지 다른 차량에 피해가 가는 부분은 없는지 등도


검사 항목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 기간은, 차량 등록일자 기준으로 전후 한 달 이내입니다.

예를들면,
승용차량의 경우 최초 차량 등록 일자가 2019년 4월 2일이라면 2023년 3월 3일부터 2023년 5월 1일까지

자동차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후에는 2년마다 자동차 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25년 3월 3일부터 2025년 5월 1일까지가

다음 검사 기간이 됩니다.

자동차 검사는 TS교통 안전공단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검사소와, 일정 시설을 갖춘 민간 검사소에서

위탁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두 곳 다 검사를 받아 보았으며 서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직영 검사소는 예약해야만 검사가 가능하고 검사소가 많지 않고, 매우 꼼꼼히 차량을 점검하고 검사합니다.

인간 위탁 검사소는 보통 예약 없이 방문하면 바로 검사를 받을 수 있고, 직영 검사소보다는 좀 느슨하게

보는 거 같습니다..

https://www.kotsa.or.kr/portal/contents.do?menuCode=06040701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 TS한국교통안전공단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자동차검사, 자동차안전연구, 사업용 자동차관리, 교통안전 조사연구 정보 제공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 기술 지침을 준수하여 제작하

www.kotsa.or.kr

자동차 검사가 가능한 곳은 위 링크에서 검색해서 사는 곳과 가까운 곳을 확인 후 방문하시면 됩니다.

저는 오래전부터 늘 검사를 받았던 민간 위탁 검사소를 방문했습니다.

검사를 위해 방문해서 대기줄앞에 주차를 하고 자동차 등록증을 가지고 사무실에 접수하면 됩니다.

검사 비용은 위와 같으며 필자의 차량은 정기검사 대상이고, 중형에 해당되는 차량이라 28,000 결재했습니다.

ABS가 장착된 차량은(요즘 차량은 거의 대부분 ABS 가 장착됨) 검사 후 ABS 경고등이나

오류코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전 그랜드 카니발 검사할 때 오류코드가 발생했었습니다..

좀 운행하다 보면 경고등이 사라지기는 합니다만,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습니다 ㅜㅜ

가장 먼저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제동 능력(브레이크) 관련 검사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외관 및 각종 등화류, 전조등 밝기 및 조사각, 불법 튜닝 관련 사항, 하체 상태 등을 점검합니다.

기본검사를 마치면, 배출가스 관련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선행차량이 있어서 대기 중입니다.

배출가스 검사 중이네요..

배출가스 검사까지 완료되면 합격, 불합격 여부가 결정되며, 기록지를 줍니다.

합격이면 집에 가면 되지만, 불합격이면 불합격 항목을 확인해서 조치 후에 재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 등화류 전구가 나가서 재검사 받는 사례가 가장 많습니다..

다행히 검사 완료 후 ABS 경고등 같은 거는 뜨지 않았네요.

오류 코드도 다행히 없습니다.

위 사항에 해당되는 내용이 있다면 재검사를 받게 되니, 자동차 검사 전 꼭 확인 및 해당 항목에 해당되는

내용이 있다면, 원상 복구한 후에 검사소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