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이벤트 로그에서 WEHA-Logger 오류 발생 시 해결 사례입니다.
업무용으로 사용 중인 PC에서 여러 창을 띄우고 작업할 때, 아주 간헐적으로 시스템이 재부팅 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자주는 아니고 아주 가끔입니다.
이벤트 로그를 보니 다른 건 특이한 게 없고 WEHA-Logger 로그가 1회 카운트되었습니다.
이 로그는 PC가 부팅된 후 1회 카운트되고, 이후에 나타나지 않다가 아주 간헐적으로 PC가 재부팅될 때
추가로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문제는 ASRock뿐만 아니라 ASUS, GigaByte, MSI 보드 등에서도 발생한 사례가 많고,
AMD 쪽은 초기에 일어났던 버그의 일종으로 BIOS 업데이트로 해결된 사례가 있다고 하네요.
또한 오버클럭 때문에 발생할수 있는 문제라 오버클럭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 원복후 테스트해보라는
말도 있습니다.
저는 시스템 오버클럭을 전혀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시스템 사양
ASRock B560 Pro4 (11th)
바이오스 버전 : 마지막 업로드된 BIOS로 업데이트된 상대
Intel i5 11400
삼성 DDR4 8G PC3200 x 2EA
Intel 내장 그래픽
Windows 10 22H2
삼성 870 EVO 250G
마이크로닉스 600W 파워
대략 이 정도 스펙의 PC를 사용 중입니다.
해당 이벤트 오류를 검색해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HA-Logger ID 1 오류는 일반적으로 저장 장치(RAID 컨트롤러, SSD, HDD)와 운영체제 간의 통신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SPM(Active State Power Management)은 PCIe 전력 관리 기능으로,
전력 절감을 위해 링크 상태를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ASPM 비활성화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가능성
ASPM이 저장 장치의 응답 지연을 유발할 경우
일부 SSD 또는 RAID 컨트롤러는 ASPM을 활성화했을 때 응답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Windows에서 WEHA-Logger ID 1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4K 섹터를 사용하는 SSD 환경에서 호환성 문제가 있는 경우 ASPM을 비활성화하면 해결될 수도 있습니다.
WEHA-Logger ID 1 오류가 PCIe 링크 상태 문제와 관련된 경우
WEHA-Logger는 Windows의 이벤트 로그에서 저장 장치와 관련된 심각한 오류를 기록하는 기능을 합니다.
ASPM이 저장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방해하면, 비활성화하여 해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ASPM 비활성화 방법
Windows 전원 옵션에서 비활성화
제어판 → 전원 옵션 → 활성화된 전원 옵션 변경 → 고급 전원 관리 옵션 변경
PCI Express → 링크 상태 전력 관리 → "사용 안 함" 설정
BIOS에서 비활성화 (제조사에 따라 옵션이 다를 수 있음)
BIOS 설정에 진입 후 **PCIe 관련 전력 관리 옵션(예: PCIe ASPM, L1 Substates 등)**을 비활성화
레지스트리에서 비활성화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pci\Parameters
경로에서
EnableASPM 값을 0으로 설정
추가 고려 사항
RAID 컨트롤러 사용 시 최신 펌웨어 적용
WEHA-Logger 오류는 RAID 컨트롤러와 관련된 경우가 많으므로,
RAID 펌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indows 전원 관리 정책 확인
Windows에서 "최대 성능" 모드를 활성화하면 ASPM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결론
ASPM을 비활성화하면 WEHA-Logger ID 1 오류가 해결될 가능성이 있지만,
문제의 원인이 다른 곳에 있을 수도 있으므로 RAID 펌웨어 업데이트 및 드라이버 확인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해결 순서:
RAID 컨트롤러 및 SSD 펌웨어 업데이트
Windows 전원 옵션에서 PCI Express 링크 상태 전력 관리 비활성화
BIOS에서 ASPM 및 관련 전력 관리 옵션 비활성화
문제가 지속될 경우 레지스트리에서 ASPM 강제 비활성화
위 해결 방법 이외에 인텔 칩셋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해서 해결했다는 사례가 있어,
인텔 사이트에 등록된 2가지 칩셋 드라이버를 순서대로 업데이트 후 테스트해봤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로 ASPM 비활성화 방법을 시도해 봤습니다.
제어판 → 전원 옵션 → 활성화된 전원 옵션 변경 → 고급 전원 관리 옵션 변경
PCI Express → 링크 상태 전력 관리 → "해제" 설정
PC 완전 종료 후 재부팅 : 여전히 부팅 시 WEHA-Logger ID 1 오류가 1회 발생합니다.
세 번째로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APSM 기능을 Disabled 후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BIOS에서 비활성화는 제조사에 따라 옵션이 다를 수 있음)
PC 완전 종료 후 재부팅 : 세 번째 방법도 부팅 시 WEHA-Logger ID 1 오류가 1회 발생합니다.
네 번째 방법은 레지스트리 편집입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pci\Parameters
경로에서
EnableASPM 값을 0으로 설정
확인해 보니 제 PC 레지스트리 정보에는 해당 부분이 없었습니다.
역시나 실패입니다..
제시된 4가지 방법으로 모두 시도해 봤지만 제 PC에서는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또 열심히 검색한 결과 인텔 칩셋 드라이버 V2306.4.3.0 버전을 다운 설치하면 해결된다고 하는데
일단 해당 버전을 못 찾아서 시도를 못해봤네요.
추가적인 테스트로는
해당 이슈 때문에 윈도우 11로 업데이트 후 테스트 해봤으나 같은 문제가 발생 합니다.
다만 다른점은 이벤트 ID가 윈도우 10에서는 ID 1로, 윈도우 11에서는 ID 3 로 표시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도해 본 것은 PCI-E 슬롯의 대역폭을 Gen4에서 Gen3로 강제로 낮추어서 임시로
해결된 사례를 검색으로 알아냈습니다.
ASRock B560 Pro4 보드에서 지원하는 PCI-E 슬롯은 총 4개이고 PCIE Gen4 16X 1개,
PCIE Gen3 1x 2개, PCIE Gen3 16x(모양만 16X이고 실제 4X입니다) 1개입니다.
저는 별도의 VGA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Intel 내장 그래픽을 사용함으로 해당 방법을 시도해 봤습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해당 부분을 변경하고 저장 후 PC를 완전 종로하고 다시 재부팅 합니다.
결과는
초기 부팅부터 몇 시간 동안 PC를 계속 사용하였는데 아직까지 WEHA-Logger ID 1 오류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우선은 그렇습니다.
제 기준에서는 PCIE Gen4 VGA를 사용 중인 상태에서,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우선은 성능 저하를 감안하고
당분간은 Gen3 상태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테스트
ASRock B460M-HDV (10th)
바이오스 버전 : 마지막 업로드된 BIOS로 업데이트된 상대
Intel i5 10400
삼성 DDR4 8G PC3200 x 2EA
Intel 내장 그래픽
Windows 10 23H2
삼성 870 EVO 250G
FSP 300W 미니 파워
해당 시스템에서는 WEHA-Logger ID 1 오류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PCI-E Gen3 까지만 지원하는 보드라서 그런거 같습니다..